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Rage Against the Machine)은 미국의 뉴메탈 밴드이다.
록 사운드에 랩을 입혀 90년대 많은 인기를 누렸다. 이들은 주로 미국의 지배계급에 대한 분노와, 억압받는 자들의 고통을 냉소적으로 노래했고, 이러한 가사들은 종종 극좌파적인 정치성향을 보이기도 했으나 결론적으론 젊은이들로 하여금 사회의식에 눈 뜨게 해줬다고 평가할 수 있다. 랩/락 계열 음악에서 기념비적인 입지를 확보하고 있으며, 록 밴드들은 물론 힙합 성향의 뮤지션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뛰어난 음악 실력과 사회 비판적인 가사, 그리고 자신들의 메시지를 직접 행동으로 옮기는 것으로 유명하다. 평단에서도 굉장히 높은 평가를 받는 밴드이다. Run-D.M.C., 퍼블릭 에너미, 비스티 보이즈를 이어 음악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은 랩 메탈 밴드이며, 특히 이들의 데뷔 앨범은 이미 클래식의 반열에 올랐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사회운동가, 힙합 팬, 메탈 팬, 펑크 록팬을 아우르는 두터운 팬층을 가진 밴드이며 이 이유는 아래에 서술한다.
밴드의 정치 성향을 잘 보여주는 1집 앨범 자켓. 1963년 불교를 탄압하는 남베트남 정부에 항의하는 의미로 소신공양한 틱꽝득 스님의 사진을 사용했다.
※ 소신공양(燒身供養)은 스스로의 몸을 불살라 공양하는 것을 말한다.
이들은 경제적 자유주의나 문화적 보수주의, 즉 보수(우파) 성향에 대해 30년 넘게 지속적인 비판을 해오고 있다.
밴드 이름 Rage Against The Machine에서 Machine은 자본주의와 그 시스템, 나아가 서구 기계 문명 전반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되는데,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이들의 성향은 아나키즘, 반자본주의, 반권위주의이다.
Bullet in the Head나 Township Rebellion, People of the Sun 등의 곡과 사파티스타에 대한 지지에서는 아나키즘 성향이 드러난다. 밴드의 거의 모든 음악들은 이런 견해들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Sleep Now in The Fire나 Guerrilla Radio의 뮤직비디오, Maria의 가사 등에서 자본주의를 비판하고 있고, 이는 자본주의의 정점인 미국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져 반미적인 성격도 가지고 있다. 일례로 Know Your Enemy에서는 '아메리칸 드림의 모든 것이 너의 적'이라고 규정하며, 2집 앨범 Evil Empire는 미국을 악의 제국이라고 표현했다. 또, 1996년 SNL 공연에선 성조기를 거꾸로 달려하더니 1999년 우드스탁 페스티벌에서는 아예 불태우는 퍼포먼스를 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런 정치 성향을 노래로 표현하다보니 정치인의 실명까지 거론하며 비판을 하기도 하는데, 가령 "Guerrilla Radio"에서는 대놓고 "고어에게 표를 주든가 아니면 마약왕의 아들에게 주든가"라는 가사가 나오며, Testify 뮤직비디오에서는 아예 그 둘이 외계인이 보낸 첩자로 사실 한 몸이었다는 식의 풍자를 했다.
밴드 대표 슬로건
Fuck you, I won't do what you tell me!
좆 까 (젠장,씨발), 니가 하라는 대로 안 해!
출처: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120310523550901
해외 커뮤 강타한 밈 "Queen never cry" 알고보니 '한국산' - 머니투데이
한국 웹툰에서 나온 인터넷 밈이 디스코드, 레딧 등 주요 글로벌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인기다. 인기있는 트렌드를 놓치지 않는 '저가 코스프레'까지 참전해 패러디물을 만들 정도다. 나날이 커
news.mt.co.kr
음악적인 메시지를 직접 행동으로 보여주는 행동파 뮤지션이기도 하다.1집 수록곡인 Freedom은 특별한 증거 없이 FBI 요원을 살해했다는 혐의로 복역 중인 미국 원주민 출신 인권운동가 레오너드 펠티어(Leonard Peltier)를 위해 만든 곡이며, 3집 수록곡인 "Guerrilla Radio"는 흑인 인권 운동가 무미아 아부 자말의 무죄를 주장하는 곡인데,
이 싱글의 수익을 직접 그의 석방운동에 일부 기부하기도 했다.
거기에 공연 심의에 반발에 공연장에서 네 명이 단체로 나체로 침묵 시위를 하는가 하면, 어린이들의 피땀을 뺏어 마시는 대기업을 상대로 불매 운동을 하기도 하는 등 사회적 참여도 대단한 편이다.
기타리스트 톰 모렐로는 2010년 한국의 기타 회사였던 Cort에서 부당하게 해고당한 노동자들과 연대해 이들을 위한 노래를 만들고, 해고 노동자들의 미국 원정 시위와 공연에 동참하기도 하며, "기타는 자유를 위한 수단이지 착취의 수단이 아니다(Guitars should be a means to liberation, not exploitation)."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밴드가 이런 성향을 가지게 된 데는 성장 환경이 많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Rage Against The Machine - Live at Finsbury Park 2010 (Full Concert)
killing in the name - 2022-08-12
Killing In The Name - Live At Finsbury Park, London / 2010
1. Rage Against the Machine 소개
Rage Against the Machine(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RATM)은 1991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결성된 밴드로, 뉴메탈과 펑크(Funk), 힙합을 결합한 독창적인 음악 스타일을 선보였습니다. 정치적이고 혁명적인 가사와 강렬한 기타 사운드로 사회 문제를 날카롭게 비판하며 전 세계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쳤습니다.
보컬 잭 드 라 로차(Zack de la Rocha)의 강렬한 랩과 메시지, 기타리스트 톰 모렐로(Tom Morello)의 독창적인 연주 기법, 그리고 팀 커머포드(Tim Commerford)의 베이스와 브래드 윌크(Brad Wilk)의 드러밍이 조화를 이루며 강렬한 사운드를 만들어냈습니다. 대표곡으로 Killing in the Name, Bulls on Parade, Guerrilla Radio, Testify, Wake Up 등이 있으며, 반정부, 반체제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2. 대표곡 5곡 및 가사 번역
1) Killing in the Name (1992)
경찰의 부정부패와 인종차별을 비판하는 곡으로, RATM을 대표하는 곡 중 하나입니다.
영어 가사:
Some of those that work forces
Are the same that burn crosses
한글 번역:
힘을 휘두르는 자들 중 일부는
십자가를 불태우던 자들과 같지
2) Bulls on Parade (1996)
정부의 군사적 개입과 자본주의 시스템을 비판한 곡으로, 강렬한 기타 리프가 특징입니다.
영어 가사:
Weapons not food, not homes, not shoes
Not need, just feed the war cannibal animal
한글 번역:
무기뿐, 음식도 아니고, 집도 아니고, 신발도 아니야
필요도 아니고, 그저 전쟁의 포식자를 먹여 살릴 뿐
3) Guerrilla Radio (1999)
미국 정치와 미디어 조작을 신랄하게 비판한 곡으로, 에너지가 넘치는 멜로디가 특징입니다.
영어 가사:
It has to start somewhere
It has to start sometime
What better place than here?
What better time than now?
한글 번역:
어디선가 시작해야 해
언젠가는 시작해야 해
여기보다 더 좋은 곳이 있을까?
지금보다 더 좋은 때가 있을까?
'The future depends on whhat we do in the present.'
by. Mahatma Candhi.
4) Testify (1999)
미국 정부의 선전과 미디어의 조작을 비판하는 곡으로, 반복적인 기타 리프가 강렬합니다.
영어 가사:
Who controls the past now controls the future
Who controls the present now controls the past
한글 번역:
과거를 지배하는 자가 미래를 지배하고
현재를 지배하는 자가 과거를 지배하지
5) Wake Up (1992)
미국 정부와 FBI의 감시 체계를 비판한 곡으로, 영화 *매트릭스(The Matrix, 1999)*의 엔딩곡으로도 유명합니다.
영어 가사:
We gotta take the power back!
한글 번역:
우리는 권력을 되찾아야 해!
https://youtu.be/4lzqUe1Qfec?si=BDMYR3OUuQ2rnwze
Rage Against The Machine • “Take The Power Back” • 1993 [Reelin' In The Years Archive]
https://youtu.be/YgemxdcSQoc?si=-YQPkp1Cra4Lwa7a
Rage Against The Machine • “Take The Power Back” • 1993 [Reelin' In The Years Archive]
3. RATM의 음악적 스타일과 인기 요인
Rage Against the Machine은 강렬한 사운드와 정치적인 메시지를 결합하여 독보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했습니다. 톰 모렐로의 혁신적인 기타 플레이는 전자음악과 비슷한 사운드를 창조하며, 잭 드 라 로차의 랩과 외침이 강렬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그들의 곡은 단순한 음악이 아니라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저항의 상징이며, 젊은 층뿐만 아니라 사회운동가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Killing in the Name과 Bulls on Parade는 현재까지도 시위 현장에서 사용되며, Wake Up은 대중문화에서 저항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4. 결론
RATM은 음악을 통해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대표적인 밴드로, 그들의 음악은 단순한 뉴메탈을 넘어 혁명의 소리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Killing in the Name, Bulls on Parade, Guerrilla Radio, Testify, Wake Up 등의 곡들은 지금도 많은 팬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문제를 비판하는 강력한 무기로 사용되고 있습니다.